[인터뷰] 김종성 "수라갯벌 가치 연 800억 이상…꼭 보존해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갯벌 연구에 독보적 성과
농약 없이 인삼 5만 뿌리 재배, 미친 스마트팜이 한국에 나타났다
어류 양식과 식물 수경 재배를 동시에, 아쿠온 김종성 대표
㈜아쿠온 | 아쿠아포닉스로 농수산 미래 열다
어류 양식과 수경재배의 혁신적 융합
신규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가까워졌다…OOC 블루카본 세션 성료
블루카본사업단 성과 주목
김종성 교수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북콘서트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의 북콘서트에 초대합니다!
군산대, 아쿠온과 '블루그린푸드테크 생태계 조성' 협약
아쿠아포닉스, 스마트양식, 스마트팜 실증연구 진행
"혼빨함멀" 혼자 가면 빨리가고 함께 가면 멀리간다. 2025년도 함께 천천히 전진하는 벤토스가 됩시다.
새해에도 즐겁고 행복하고 건강하고 성과 넘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국립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와 함께 2024년도 '해양수산인의 밤' 행사 개최
국립군산대학교는 12월 13일, 서울대학교 블루카본 사업단과 공동으로 '제7회 해양수산인의 밤' 행사를 개최했다.
비식생 갯벌, ‘신규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받는다!
식물이 자라지 않는 ‘비식생(非植生) 갯벌’이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국제인증 받을 전망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서 주목받은 블루카본 국제인증 추진 세미나
비식생 갯벌과 해조류의 신규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추진하기 위한 부대행사가 지난 11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렸다.
Our Benthos
가무락조개
안녕하세요! 2025년 10월 이달의 생물은 서해갯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 (Gmelin, 1791)입니다. <가무락조개;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가무락조개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Mollusca) 이매패강(Bi...
2025-10-01l 동물
마라도
2025년 9월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 드릴 곳은 마라도입니다. <마라도의 전경, 출처: 오마이뉴스>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 마라도는 제주도 남쪽 바다 끝자락, 모슬포에서 남쪽으로 약 11km 해상에 자리한 작은 화산섬입니다.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속하며, 섬 전체를 한 바퀴 도는 데 한 시간 남짓이면 충분할 만큼 아담하지만, ...
2025-09-01l남해
Our Booklet
김종성 교수의 우리 바다 우리 생물
“지금은 전 인류가 바다 구하기에 동참해야 할 때” ■ 추천사 ‘우리 바다 우리 생물’ 원고를 받고는 벅찬 감정에 늦은 밤까지 읽기를 계속했다. 그의 글은 힘이 있었고 읽을수록 긴장감이 더해갔다. 평생의 친구를 오래간만에 만나서 이야기꽃에 정신없이 빠져들던 기분이었다. -고철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저자가...
2025-10-01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