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 현대화 ‘블루푸드’, 기술 통한 혁신 전제 조건 ‘데이터’ 지목
‘부산 X 블루푸드테크’ 세션, 데이터 기반 마련과 규제 대응 필요 제시
[인터뷰] 김종성 "수라갯벌 가치 연 800억 이상…꼭 보존해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갯벌 연구에 독보적 성과
농약 없이 인삼 5만 뿌리 재배, 미친 스마트팜이 한국에 나타났다
어류 양식과 식물 수경 재배를 동시에, 아쿠온 김종성 대표
㈜아쿠온 | 아쿠아포닉스로 농수산 미래 열다
어류 양식과 수경재배의 혁신적 융합
신규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가까워졌다…OOC 블루카본 세션 성료
블루카본사업단 성과 주목
김종성 교수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북콘서트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의 북콘서트에 초대합니다!
군산대, 아쿠온과 '블루그린푸드테크 생태계 조성' 협약
아쿠아포닉스, 스마트양식, 스마트팜 실증연구 진행
"혼빨함멀" 혼자 가면 빨리가고 함께 가면 멀리간다. 2025년도 함께 천천히 전진하는 벤토스가 됩시다.
새해에도 즐겁고 행복하고 건강하고 성과 넘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국립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와 함께 2024년도 '해양수산인의 밤' 행사 개최
국립군산대학교는 12월 13일, 서울대학교 블루카본 사업단과 공동으로 '제7회 해양수산인의 밤' 행사를 개최했다.
비식생 갯벌, ‘신규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받는다!
식물이 자라지 않는 ‘비식생(非植生) 갯벌’이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국제인증 받을 전망이다.
Our Benthos
방어
안녕하세요!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11월, 푸른 바다 속에서는 점점 더 살이 오르고 윤기가 흐르는 생선이 있습니다. 겨울이 다가올수록 지방이 차오르며, 우리 식탁에서도 반가운 손님이 되는 생물, 바로 방어입니다. <방어떼; 출처: 한국저작권위원회> 분류학적...
2025-11-01l 동물
영흥도
2025년 10월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 드릴 곳은 영흥도입니다. <영흥도 전경, 출처: 영흥도갤러리> 영흥도는 인천광역시 소재에 있는 섬으로 동쪽으로는 선재도와 대부도를 마주하고 있는 섬입니다. 이전에는 인천항과 대부도 방아머리항에서 배로만 갈 수 있었던 섬이었으나, 선재대교와 영흥대교가 건설되면서 육로로 갈 수 있는 섬이 되었습니다. 영흥도는 ...
2025-10-01l서해
Our Booklet
김종성 교수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가 알아야할 해양생태계 이야기를 다룬 새책이 나왔다. 저자인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국내 갯벌 연구의 권위자로, 서울대 해양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갯벌연구센터장과 독도울릉도해역연구센터장을 역임했고, 현재 해역이용영향평가연구단, 블루카본사업단 등을 이끌며, 바다와 ...
2025-11-01l